-
문화누리카드로 문화생활 지원금으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와 영상 콘텐츠 OTT를 지원받아 사용가능하며 사용처나 충천방법 또한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우선 문화누리카드는 국민의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문화행사 티켓구매, 박물관, 갤러리, 극장, 콘서트 방문, 심지어는 책 구매 시에 보조금 형식으로 지원하는 카드입니다.
문화누리카드 활용
무엇보다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가맹점도 다양합니다.
지니뮤직(genie)은 결제 시 15%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으며 벅스뮤직(Bugs), 멜론 뮤직(Melon), 플로(Flo), 유튜브 뮤직(Youtube music)등 월에 7천 원 ~ 1만 원 정도를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하여 음악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2024년 1인당 13만원 지원)
사업대상자 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으로 6세 이상으로 (2018,12, 31) 이전 출생자를 대상으로 지원이 가능하며 기초생활 수급자 자격은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및 조건부 수급자 그리고 보장시설 수급자에 한 합니다.
차상위계층은 기준 중위소득이 50% 이하인자이며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며 기초생활수급자보다 중위소득이 좀 더 높은 생활수준의 계층을 말합니다.
지원금액
지원금액은 23년도에 1인당 보조금이 연 11만원에서 24년도에는 13만 원으로 증액되었습니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나 영상 콘텐츠 서비스 가입시 지원금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발급기간
카드 발급은 24년2월1일 부터 24년 11월 30일까지 발급이 가능하며 발급은 전국 주민센터나 온라인 (아래의 링크), 모바일 앱, 전화(ARS) 1544-3412로 안내받으시면 발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카드 사용 가능처
음악 스트리밍
제휴사 지니뮤직(genie), 벅스뮤직(Bugs), 멜론 뮤직(Melon), 플로(Flo), 유튜브 뮤직(Youtube music)
4대 프로 스포츠 관람
축구, 농구, 야구, 배구 등
도서
서점, 도서 대여, 온라인 서점, 중고 서점
영화
영화, 영상 콘텐츠(OTT 서비스 등)
TV
케이블TV, 위성방송
공연
극단, 공연장, 아트 공연 등
이밖에 전시(박물관, 미술관 등), 공예, 사진관, 문화 체험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문화누리카드사용처를 추천도 받고 있어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추천도 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문화누리 사용처 추천▼
▼ 온라인 문화누리 사용처 추천▼
23년도 문화 누리 카드 발급자인 경우 수급 자격이 유지되실 경우에는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24년도 지원금이 자동 문화누리 카드로 자동지급이 됩니다.
자동충전 제외 대상자
자격 검증 일인 24년 1월 8일~ 1월 12일 기준 수급 자격이 없는 자 즉, 기초 생활 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이며 , 이밖에 복지 시설 발급자, 사망자, 사망 의심자, 사고 등록 카드( 분실 신고 등), 사용 정지, 우편 수령 후 등록하지 않은 자, 주민 번호 비노출자자 자동충전 제외됩니다.
23년도 문화누리카드 발급 후 지원금을 한 푼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동 충전이 제외됩니다. 23년 카드 발급 후 24년도 자격 검증기간에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단, 자동 검증일 기간(24.1.8~1.12) 이전까지 개인정보 변경 신청 완료자는 자동 재충전 가능), 주민번호 말소자, 자격 검증 시점 일시적 자동중지된 자 등이 자동 충전 제외자가 됩니다.
'바른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청년도약계좌 전환 구비서류(가입 조건 및 청년주택드림대출 금리2.2%) (2) 2024.02.23 의사 교육 과정 (일반의, 수련의, 전공의, 전문의 뜻) (0) 2024.02.21 KTX N카드 할인율 코레일 N카드 2구간 설정하는 법 (1) 2024.02.19 봄을 알리는 입춘(立春) 날짜와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3) 2024.02.05 WTO (세계무역기구) FTA (자유무역협정) : 국제 무역의 이해 (0) 2024.02.02 노후 안정 자금인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모의계산 (2023년도) (0) 2023.09.21 국세, 지방세 납세 증명서 및 임대인 세금 체납 열람 (완납 증명서, 위임장) (0) 2023.08.24 재산세 조회, 납부기간 및 계산하기 [재산세 카드혜택] (0)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