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전제품에 붙어있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1등급에 가까울수록 전기 효율이 좋아 그만큼 전기를 아낄 수 있지만 사용량과 에너지소비효율에 따라 전기료가 다르게 됩니다. 전자제품에 붙어있는 품질표시 라벨을 보시면 간단한 계산으로 전기요금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가전제품 전기세 계산하기 ▼제품 소비전력으로 월 전기요금 알아보기 ▼
목차
1. 한전 전기요금계산기로 알아보기
가전제품을 보시면 뒤쪽라벨에 소비전력이 나옵니다. 예시로 제가 사용하고 있는 위닉스에서 나온 제습기를 예시로 전기요금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천관리법에 의한 품질 표시 품명/모델명 제습기/DXTEIOO-KWK 안전확인신고번호 YH07213-20002 정 격 전 입 AC 220V/60Hz 소 비 전 력 250W 냉 매 (중 량) R-134a(160g) 토출압력/흡입압력 1.4MPa/0.4MPa 제습량 10L/일 절 연 종 류 1종기기 중량 약 15.8kg 외 형 치 수 362mm(W)x257mm(D)x590mm(H) 제조원 (주)위닉스 품질표시라벨에 복잡한 제원이 나와있지만 여기서 소비전력만을 보시면 됩니다.
250 / 1000 x 8 x 30 = 60
250(W : 소비전력) / 1000(kW 단위변경) x 8(h 하루사용시간) x 30(한 달 기준) = 60(kW)
하루에 8시간 30일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계산으로 60(kW)이라는 값이 나옵니다. 이 값을 아래의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하는 전기요금 계산기 바로가기를 클릭하시고 결과 값을 넣어 주시면 됩니다.
- 전기요금계산기 | KEPCO -
계약 종별에 따른 조건을 선택하신 후 요금계산 버튼을 누르시면 상세계산내역을 보실 수 있습니다.
cyber.kepco.co.kr
위의 링크에 한전에서 매번 개정된 요금으로 계산이 되므로 전기요금계산기 바로가기를 선택하시고 아래의 순서대로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계약종별선택
일반 주택에 가정이라면 주택용(저압)을 선택하시고 아파트라면 주택용(고압)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을 드리자면 주택용(저압)은 3kW 이하인 경우며,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아파트의 경우에는 한국전력공사와 계약에서 저압, 고압이 결정되는데 전기요금과 관리비가 포함돼서 나오면 고압인 경우가 보통입니다.
조건선택
주거구분과 대가족요금/생명우지장치요금에선 특별한 사유가 없으시면 해당 없음을 선택하시고 복지할인요금 적용여부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사용기간은 한 달로 계산했으므로 한 달로 체크해 주시고 요금계산을 누르시길 바랍니다.
기초생활(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기준 확인은 나의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혜택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고 나의 중위소득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나의 중위소득 알아보기 ▼
계산된 결과
계산된 금액은 작성기준 대략적으로 10,170원입니다. 이 금액은 정해진 시간과 일로 계산했기 때문에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상세계산내역
상세내역에는 기본요금 및 기타부과된 요금이 내역서가 상세하게 나와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PDF파일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2. 사용제품 요금계산하기
구매한 가전제품을 추가로 사용 시 월평균 전기요금에 얼마나 더 나오는지 미리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 사용제품 요금계산 | KEPCO -
월 예상 전기사용량 0kWh = 예상 전기요금 0원 슈퍼유저 요금(7.1~8.31, 12.1~2월말 기준) 0원 주택용 저압 기준(TV수신료 및 할인요금 제외) 월간 요금 합계입니다.
cyber.kepco.co.kr
사용제품 요금계산에 월평균 전기사용량을 알아야 합니다. 나의 한 달 전기사용량은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에 들어가셔서 조회/납부를 클릭하셔서 상세조회를 하시면 월별 사용량(kWh)을 알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저번달 75 kWh, 저저번 달에는 65 kWh가 나왔습니다. 평균적으로 70 kWh를 기입하고 제습기를 소비전력 250W를 입력하고 사용시간을 8시간으로 기입하겠습니다. 대략적으로 19,650이 나왔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다음 달에 2만 원 정도 나올 것 같습니다.
▼한전에서 나의 고객번호 찾기 ▼
월평균 전기요금을 알아보실 경우 나의 고객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고지서가 있다면 고객번호가 있지만 없으시다면 한전 사이버지점 홈페이지에서 고객번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는 고객번호 찾는 방법에 대해 설명되어 있으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바른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차령 경감율 및 가산금 계산, 납부기간 (0) 2023.07.28 자동차세 계산 및 납부방법, 나의 세금 알아보기(이택스, 위택스) (0) 2023.07.26 가정용 전기세 기타계절 누진세 보는법 및 전기요금 계산하기 (0) 2023.07.22 전기요금 계산기 조회 및 한전 고객번호 찾기 (0) 2023.07.21 알뜰 교통카드 체크카드 및 플러스 카드 신청하기, 1년에 최대 79만원 혜택 (0) 2023.07.13 24년도 중위소득 100% 확인하는 법과 중위소득 180% 및 가구소득 중위 180% (0) 2023.07.11 탄소중립포인트 탄소포인트 지급기준 (0) 2023.07.07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은행별 이자확인 및 KB국민은행 가입 (0) 2023.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