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생활정보

가정용 전기세 기타계절 누진세 보는법 및 전기요금 계산하기

씨즌포 2023. 7. 22. 23:21

누진세는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정해진 구간별 전력량에 따라 적용하는 세금입니다. 전기를 많이 사용하면 사용한 구간만큼 세금을 더 내게 됩니다. 한국전력공사에서 정하는 누진세 표를 보시고 전기요금을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누진세 계산하는 법▼

 

 

목차

     

    1. 하계 누진세 계산하기

    누진세 계산하기
    누진세에 대해 알아보기

    여름이 되면 장마에 습하고 덥게 되면 제습기나 에어컨등 전기 사용량이 많아 하계(7.1 ~ 8.31)는 전력량 요금이 기타 계절에 비해 전기요금이 다릅니다. 4인 가족 월평균 전기 사용량인 350 kWh를 예를 들어 계산해 보겠습니다. 350 kWh라면 2구간에 해당됩니다.

    하계 (7.1 ~ 8.31)

    적용일자 : 2023년 5월 16일

    구간 기본요금(원/호) 전력량 요금(원/kWh)
    1 300kWh 이하 사용 910 120.0
    2 301~450kWh 1,600 214.6
    3 450kWh 초과 7,300 307.3

    슈퍼유저요금 : 하계(7월 1일~8월 31일) 1,000 kWh초과 전력량요금은 736.2원/kWh 적용

     

    350 x 214.6(전력량 요금) = 75,110 이렇게 계산하면 잘못된 계산법입니다. 

    300 x 120.0 (1구간 300 kWh 이하) + 50 x 214.6 (2구간 301 kWh~450 kWh) = 46,730원

     

    46,730원의 전기요금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전기요금에는 또 다른 추가 세금이 있습니다.

     

    • 전기요금 = 기본요금+전력량요금+기후환경요금+연료비조정요금 + 역률요금 + 200 kWh 이하 감액 + 취약계층경감액 + 복지할인금액 + 사용량0감액

         53,230원 = 1,600원 + 46,730원 + 3,150원 + 1,750원 + 0원 + 0원 + 0원 + 0원 + 0원

     

    • 부가가치세 = 전기요금 x 10% (원미만 반올림)

          5,323원 = 53,230원 x 10%

     

    • 전력산업기반기금 = 전기요금 x 3.7% (10원 미만 절사)

          1,960원 = 53,230원 x 3.7%

     

    • 청구금액(전기요금계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53,230원 + 5,323원 + 1,960원 = 60,510원 (10원 미만 절사)

     

    월평균 사용량이 350 kWh 인 경우 60,510원이 나왔습니다. 위의 내용은 참고로만 알아두시고 전기요금 계산기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의 링크에 설명이 되어있으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전기요금 계산기로 확인하기 ▼

     

     

     

    2. 기타 계절 누진세 계산하기

    기타 계절 누진세는  7월, 8월을 제외한 계절에 부과하는 전력량 요금입니다.

    기타 계절 (1.1 ~ 6.30, 9.1~ 12.31) 

    적용일자 : 2023년 5월 16일

    구간 기본요금(원/호) 전력량 요금(원/kWh)
    1 200kWh 이하 사용 910 120
    2 201~400kWh 1,600 214.6
    3 400kWh 초과 7,300 307.3

     

    앞의 내용과 같이 월평균 전기사용료가 350 kWh 일 경우 기타 계절 전력량 요금 적용 시 금액이 다릅니다. 일자가 23년 5월 16일 이후 이기 때문에 앞으로 다가올 9월 요금을 예상해서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타 계절 누진세 계산하기▼

     

     

    200 kWh x 120.0 (1구간 200 kWh 이하) + 150 kWh x 214.6 (2구간 201 kWh~400 kWh) = 56,190

    여기에 기타 세금을 포함하면 71,260

     

    하        계 : 전력량 350 kWh일 때 전기요금 = 60,510

    기타 계절 : 전력량 350 kWh일 때 전기요금 = 71,260

     

    기타 계절 전력량 전기요금이 비싸게 느껴지지만 계절마다 전력사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국가 정책으로 하계와 기타 계절 전력량 요금이 다르게 책정이 됩니다.

     

    매월 사용하는 전기 사용량을 관심 있게 보시고 전기사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에너지도 줄이시길 바랍니다. 환경부에서 실시하는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사용량의 절감비율에 따라 "탄소중립포인트"를 인센티브로 지불하는 제도도 있습니다. 에너지 사용량도 줄이고 인센티브도 받아서 세금을 절감하시길 바랍니다.

     

    ▼ 탄소중립포인트 받으러 가기▼

     

     

     

     

    탄소중립포인트 탄소포인트 지급기준

    환경부에서 2009년도에 도입한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는 가정이나 상업, 아파트단지등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고 감축률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인센티브로 지불하는 제도입니다. ▼아래의

    seasonf.tistory.com

     

    에어컨 제습기 전기세 및 전기요금 계산하기

    가전제품에 붙어있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1등급에 가까울수록 전기 효율이 좋아 그만큼 전기를 아낄 수 있지만 사용량과 에너지소비효율에 따라 전기료가 다르게 됩니다. 전자제품에 붙어있

    seasonf.tistory.com

     

    전기요금 계산기 조회 및 한전 고객번호 찾기

    전기요금 조회나 가전제품추가 구매 시 월 전기요금을 조회하려면 나의 고객번호를 알아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지로용지를 보면 나와있지만 요즘은 용지보다는 메시지로 많이 받습니다. 아래

    seasonf.tistory.com